옳바른 방향은 짐을 내려주는 것이다.
특히 남성은 성공에 대한 압박을 더 크게 받고, 생계부양자로서 부담을 훨씬 무겁게 느끼고 있다. 군대 문제까지 포함하면 한국의 청년 남성들이 가진 분노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이들이 지닌 경제적·사회적·정신적 부담을 줄이고 남녀 모두 경제적 부양과 돌봄의 책임을 이행하는 사회가 성평등 운동이 지향하는 사회다. 그리고 성평등은 페미니즘이 지향하는 가치다. 청년과 한국사회의 미래를 책임진 정치인들의 정직한 자세를 촉구한다.
한국만의 이슈는 아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주장들이 한국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미국은 물론, 일본과 아시아 남미 유럽의 많은 사회에서 여성운동이 성과를 거두는 시기에 어김없이 등장했다. '백래시'다. 흔히 성평등 문제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되는 노르딕 국가들에서도 이런 현상은 존재한다. 다만 정치권과 언론이 이를 다루는 태도가 달랐고, 그것이 인접 국가들 사이에서도 사회적 성평등의 수준을 갈랐다. 스웨덴과 덴마크의 백래시를 다룬 연구들은 스웨덴에서 정치권과 언론이 성평등 운동을 지지했고, 남성들이 성평등 정책의 지지자로서 앞장선 데 비해, 덴마크의 경우 언론과 정치권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음을 지적한다. 그 결과 오늘날 스웨덴은 젠더관계에서 가장 균형 잡힌 선진 사회로 알려져 있지만, 덴마크의 상황은 다르다.
투표를 통해 맛본 정치적 효능감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청년 남성들의 이합집산은 그들이 투표라는 행위를 통해서 정치적 효능감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행태는 앞으로 이들이 한국의 양당 정치에서 목소리를 내는 세력으로서 자신들이 구축해 나갈 전략을 암시한다. 2016년 이후 미국에서 공화당의 지지세력으로서 농촌지역 백인 중장년 남성들이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것처럼, 한국의 청년 남성들은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의 강력한 지지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국민의힘은 물론 여당 정치인들까지 청년 남성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원글
'Mind Security > 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umn]지성과 그리고 행동, 단테 신곡'지옥편' (0) | 2021.11.20 |
---|---|
[Colum]'세상 참 좋아졌어'라는 말의 의미 (0) | 2021.11.12 |
[Column]'설거지론'에 숨은 의미와 '도태남' Behind Story. (0) | 2021.11.06 |
[Column]인간 관계와 공감능력 (0) | 2021.11.05 |
[Column]대물림 되는 능력주의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