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nd Security

(142)
[Video] 초식남으로 시작해 35세 남자 결혼까지 알아보기 재미로 찾아보고 맺어보는 이야기 입니다. 초식남의 정의는 가부장적이고 카리스마있는 기존 세대의 남자들과 달리 섬세하고 온순한 남자를 지칭하는 말로써 일본의 신조어(만든이, 후카사와 마키) 한국에서 연애를 안하는 남자로 설명됨(못하는 것도 맞을듯 함) 결혼 데이터를 확인 해보는 왜 못/안하는 걸까? 남성 35세 이후 최상위 소득은 100%이 결혼을 하지만 저소득 ~ 중간 소득의 경우 10년 전보다 혼인률 유의미한 감소를 보이고 있음 재미있는 사실은 남성 임금 불평등이 커지면 미혼율이 올라감. 즉 소득 절대 수준보다 상대적 위치 더 영향력이 크다는 소리. 초식남 중 결혼을 하고 싶지만 못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상대적 임금 격차(박탈감)으로 결혼을 하지 안/못하는 경우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참조 https:/..
[Video] 능력 있는 나이 있는 여자가 결혼을 못하는 이유 from 권감각 이 글은 권감각 님의 유트브를 보고 재구성 한 콘텐츠 입니다. 내용은 대략 이렇습니다. 능력이 좋은시 여자 CEO 님께서 딱 3가지를 중요하게 보십니다. 1. 성격 2. 외모 3. 자기일 잘하는 사람(직업같은 직업?) 감각님이 말을 잘해서 재미있어요. 결혼 정보 업체에서는 크게 3가지를 봄 1. 연봉 2. 외보 3. 학력 여기서 2가지가 없다면 고민을 해봐야합니다. 무엇을? 가입을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peTSCtrmYOY
[결혼]1인가구, 결혼할 돈이 없다. 1인 가구 가운데 절반(50.3%·2020년 기준)은 미혼이었다.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결혼 자금 부족(30.8%), 직업 없거나 고용상태 불안정(14.4%), 출산·양육 부담(12.0%) 등 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원글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212072121005
[Life]결혼생활 그리고 이혼 from 블라인드 이야기 최근 블라인드 글이 올라왔습니다. 결혼을 했고 아내의 행동이 이해가 안된다고 해서 힘들다는 고충을 내용이였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글 이 올라왔는데, 상당히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이러한 관점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도 적용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혼을 하기 이전에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타인의 신발을 신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물론 이건 상당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GOOD WORDS]소울리스좌, 에버렌드 김한나 "저 같은 경우에도 그렇고 다른 알바를 하시거나 일을 하시는 분들도 아마 영혼이 없기 전까지 되게 큰 노력이 있었을 것 같아서, 영혼이 없다는 게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닌 것 같아요. 최적의 효율을 찾아서 일을 한다라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1377063 '영혼 없이' 내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법 - BBC News 코리아 최선과 열정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꾼 '소울리스좌' 김한나 씨를 BBC코리아가 만나봤다. www.bbc.com
[Emotion]세상엔 나쁜 감정은 없다. 외로움 모멸감 슬픔 두려움 배신감 자괴감 실망 ... 지난 하루 간 위에 언급된 감정 중 어떤 감정을 느꼈나요? 우리는 흔히 이런 감정들을 '나쁜 감정' 혹은 '부정적 감정'이라고 생각하고 되도록 멀리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이러한 감정은 느끼면 안 되는 '나쁜' 감정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어떠한 감정에 좋고 나쁘다는 판단의 잣대를 들이미는 것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사실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세상의 어떠한 개념까지 선악판단이나 가치판단을 하는지는 다 다르겠지만, 저는 인간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서는 좋다, 나쁘다 가치판단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이런 모든 감정들이 바로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이유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느끼는 것이 잘 느끼는 것일까요? 첫째로 ..
[Column]2021 혼인 19만3천건…초혼 남 33.4세·여 31.1세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1년 혼인·이혼 통계'(혼인·이혼신고서 접수 기준)를 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3천건으로 전년 대비 9.8% 줄었다 혼인 건수는 60대 미만 연령대에서 모두 감소했는데 남자는 30대 초반(-10.3%), 여자는 20대 후반(-14.4%)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다. 서울의 경우 남자의 평균 초혼 연령이 33.9세, 여자는 31.9세로 전국 평균보다 더 높았다. 이혼 지난해 혼인 지속 기간 30년 이상 '황혼 이혼'(1만8천건)은 10년 전인 2011년의 2.2배 수준이다. 전체 이혼에서 황혼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1년 6.9%에서 지난해 17.6%로 10.7%포인트 높아졌다. 연령별 이혼율은 남자는 40대 후반이 7.4건으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40대 초반이 7.8..
[Colum]“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친구” 英 최고 지성, 찰스 핸디의 마지막 충언 ‘인간은 관리되어야 하는 인적 자원이 아니다’ ‘부품이 되지 않는 곳에서 일하라’ ‘이제 ‘은퇴’라는 단어를 은퇴시켜라’ ‘셀 수 없는 것이 셀 수 있는 것보다 강하다’. 삶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단연코 ‘사랑할 사람’이지요. ‘좋은 친구’는 ‘연인’만큼 좋습니다. 어떤 연인은 이기적이라 당신에게 돌려주는 것을 싫어합니다(웃음). 운 좋게도 제 아내 엘리자베스는 저의 최고의 친구였어요. 배움과 위로를 주는 ‘베프’였죠. 아내는 신중했고 적정한 선을 지켰습니다. 저를 비판했지만 동시에 “당신이 하는 일은 아주 중요한 일이에요”라고 일깨웠어요.” 돈 문제에서는 언제부터 자유로워졌습니까? “저는 여러 번 직업을 바꿨어요. 석유회사 간부에서 교수로, 프리랜서 작가로. 직업을 바꿀수록 즐거움은 커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