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Security (142) 썸네일형 리스트형 [Book]수치심 권하는 사회_7(완벽함 그리고 미디어) 우리가 바라는 완벽한 모습의 실체 우리가 되고 싶은 완벽한 모습은 어디서 만들어진 것일까? 답은 바로 우리를 둘러싼 수치심 거미줄에 있다. 가족, 배우자, 친구, 나 자신, 동료. 지인 등 수치심 거미줄에 있는 사람들의 기대를 합한 모습이 ‘우리가 되고 싶은 완벽한 모습’이다. 신체 이미지 부양 모성 완벽함을 꿈꾸면 남는 건 실패뿐 수치심 회복탄력성이 높은 여성들은 ‘완벽함’보다 ‘성장’에 대한 말을 더 많이 했다. 저는 ( )에서 더 나아지기를 원해요. 제가 ( )하는 방법이 개선되기를 바래요. ( )는 좀 더 적게 하고 ( )를 더 많이 하고 싶어요. 내 목표는 ( )이에요. ( )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요. ( )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요. 완벽함 대신 성장을 선택하는.. [Book]수치심을 권하는 사회_6(말로 표현하기) 수치심 말하기_ 말로 표현해야 고통은 사라진다. 수치심을 말하려면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유대감을 추구하는 존재이기에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다른 어떤 방법보다도 스토리텔링이 내가 누구이고, 어떻게 느끼고, 내게 무엇이 중요하고, 남들에게서 무엇을 원하는지를 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내 마음이 아프다는 걸 어떻게 전해야 할까? 첫 번째 사례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이 이런 식으로 대응한다. “그만 좀 해. 살쪘다고 말하는 거 정말 듣기 싫어, 지겨워 죽겠어.” 하지만 이렇게 짜증이나 화를 내는 식으로 말해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 상대에게 ‘당신 때문에 내 마음이 아프다’라는 말을 전해야 한다.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지 말하는 것은 상대를 공.. [Book]수치심 권하는 사회_5(유대감과 손내밀기) 손 내밀기_수치심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싶지 않다면 우리가 남들에게 손을 내미는 것은 ‘문제를 바로잡거나’. ‘상대를 구원하기’위해서가 아니다. 우리가 남들에게 손을 내미는 것은 그들과 우리를 연결함으로써 그들을 돕기 위해서다. 소로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는 변화를 만들고 수치심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다. 하지만 손을 내밀지 않으면 ‘분리(sperating)’와 ‘벽 쌓기(insulating)’로 인해 수치심을 더 크게 키우고 고립을 부추기게 된다. “웃음은 수치심을 감추고 있던 문의 빗장이 헐거워졌다는 증거이다.” 이해의 웃음은 우리의 수치심이 변했다는 걸 느끼는 순간에 나온다. 공감과 마찬가지로 이해의 웃음은 수치심을 조각내고 부정적인 힘을 빼앗아 숨어 있던 곳에서 밖으로 끌어낸다” 왜 자꾸 벽을.. [Book]수치심 권하는 사회_4(수치심 객관화) 휘둘리지 않으려면 한발 물러서서 보라 수치심을 느끼면 줌렌즈는 우리를 확대해서 결함이 있는 자신, 홀로 힘겨워하는 모습을 잡아낸다. 그러면 우리는 이렇게 생각한다. “이런 사람은 나 하나뿐이야. 나는 뭔가 잘못됐어. 나만 이런 거야.” 그러나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외모에 대한 다음의 큰 그림 질문들에 대답해보자. 외모에 대한 사회공통체의 기대는 무엇인가? 왜 그런 기대가 존재하는가? 그런 기대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우리 사회는 그런 기대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가? 그런 기대로 이익을 얻는 사람은 누구인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실천을 통해서 우리는 수치심 회복탄력성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맥락 이해(큰 그림을 본다.) 정상화(나만 이런 게 아니다.) 의문 제거(내가 아는 것을.. [Column]The docility myth flattening Asian women’s careers The stereotype Ahmed refers to is an enduring one. In one study of Asian American women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14% said that others had viewed them as incapable of becoming leaders, while 34% reported that others had assumed they were submissive or passive. 아흐메드가 말하는 고정관념은 지속될 것이다. 차별을 경험한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에 대한 한 연구에서 14%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지도자가 될 능력이 없다고 봤다고 답했고, 34%는 자신이 순종적이거나 수동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응.. [Video]사람을 볼 때 확인해야 할 세가지,곽정은 사람을 볼 때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들이 있다. 젊은 날에 만남은 매력, 나를 좋아해주는 열정 그리고 취향의 비슷함에 끌리지만 그것은 변하는 변수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사랑의 3가지 조건 매력 x 나를 좋아하는 정도(열정) x 비슷한 취향 = 나 마음의 사이즈 위의 세가지는 사실 변수다. 변하는 값이라는 것이다. 이것 중 하나라도 0이 되면 내 마음의 사이즈 값도 0이 된다. 왜냐 곱하기니까. "이 세가지 값은 사랑을 시작시킬 순 있어도 지속시킬 순 없다." 매력 : 그 사람의 스타일, 그 사람의 능력, 말투 등 나를 좋아해주는 정도(열정) 취향 : 비슷한 문화생활, 먹는 취향 등 연애를 시작할때 필요한 덕목 3가지 가치관 가치관의 사전적 의미 가치에 대한 관점. 인간이 자기를 포함한 세계나 그 속.. 이전 1 ··· 15 16 17 18 다음